반응형
바둑용어 4
바둑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는 티스토리 바둑왕입니다★
바둑용어 3에 이어 바둑용어 4를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넘다 : 변을 경계로 양쪽으로 분리된 돌을 능률적으로 이어가다.
- 노리다 : 약점 또는 취약한 곳에 수단을 부릴 기회를 잡으려고 잔뜩 눈여겨보다.
- 노림수 : 상대에게 수단을 부릴 만한 자리 또는 그러한 수
- 놀다 : 반상의 기착점이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 높은중국식 : 중국식 포석의 하나로 변에 벌리는 수가 4선에 있을 때를 가리킨다.
- 높은협공 : 3선의 돌을 4선에서 협공하는 기법
- 놓고두다 : 깔고두다와 같은 의미
- 놓고따다 : 상대의 죽은 돌을 공배를 모두 메워 따내다. 자신의 돌이 온전하지 않기 때문에 포위되어 있는 상대의 돌을 공배를 메워 따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 놓다 : 바둑돌을 바둑판 위의 일정한 곳에 두다. 착수하다.
- 눈 : 사활과 직결되는 집의 형태 : 착수금지를 만들 수 있는 자리
- 눈목자걸침 : 걸침의 하나로 소목 또는 화점에 대해 눈목자로 걸치는 수법
- 눈목자굳힘 : 굳힘의 하나로 눈목자로 귀를 지키는 법
- 눈목자끝내기 : 비마 달리기
- 눈목자달리기 : 3선에 위치한 기착점에서 눈목자 상대방 진영의 2선에 들어가는 행마법
- 눈목자받음 : 걸쳐 오는 반대방향으로 기착점에서 눈목자가 되는 곳에 받는 수법
- 눈목자씌움 : 외목 또는 고목에 걸쳐온 상대의 돌을 위쪽에서 눈목자로 씌워 압박하는 기법
- 눈목자행마 : 기본 행마법의 하나로 기착점에서 눈목자가 되는 곳에 두는 행마로 발이 빠르고 폭이 넓어어 능률적이기는 하나 견실하지 못한 약점을 갖고 있다.
- 눈사태정석 : 밀어붙이기정석
- 눌러막다 : 변 또는 중앙으로 돌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
- 느슨하다 : 돌의 움직임이 늘어지거나 헐거워 상대에게 위협을 주지 못한다.
- 늘다 : 돌 하나를 더 이어 놓다.
- 늘어지다 : 축이나 패의 모양에서 뒷수가 비어 수수가 길어지다.
- 늘어진장문 : 온전한 형태의 장문이 아니라 살아 나가려고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문
- 늘어진축 : 빈축
- 늘어진패 : 뒷수가 비어 있어 곧장 패를 해소할 수 없는 한쪽에 여유가 있는 패
- 다면기 :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상대로 동시에 대국하는 일 또는 그런 바둑
- 단 : 기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급보다 한 층 높은 등급(프로는 초단부터 9단까지 있음)
- 단곤마 : 하나의 곤마
- 단급 : 기력을 나타내는 등급
- 단명국 : 수수가 길지 않은 상태에서 승부가 결정된 바둑
- 단수 : 한 수만 더 두면 돌을 따내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로 기불단수에서 유래된 말
- 단점 : 일단의 돌이 끊어져 두 갈래로 나뉠 수 있는 곳, 모양이 허술하여 수가 날 수 있는 자리
- 단판 : 한 판의 바둑
- 단패 : 양쪽이 서로 한 수로 패를 해소할 수 있는 패
- 달리다 : 상대 진영으로 발 빠르게 미끄러져 들어가다.
- 당하다 : 접전에서 손해를 보다
- 대가 : 큰 집
- 대각포석 : 흑백이 서로 대각이 되게 돌을 놓아 4 귀를 양분하는 포석
- 대고목 : 귀 착점의 하나로 고목에서 변 쪽으로 한 수 더 간 자리
- 대국 : 바둑이나 장기를 두는 행위로 바둑판을 놓고 마주 앉는다는 데서 생긴 말
- 대국관 : 바둑의 형세를 판단하는 능력 또는 국면을 바라보는 견해
- 대국보 : 기보
- 대국자 : 바둑이나 장기를 두는 사람
- 대국장 : 바둑이나 장기를 두는 장소
- 대국집 : 기보를 모아 해설을 곁들여 놓은 책
- 대궁소궁 : 수상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한쪽이 확보하고 있는 집의 수가 다른 쪽보다 많은 것을 이르는 말로 집의 수가 많은 쪽이 적은 쪽을 더 이상의 수를 들이지 않고도 잡는다.
- 대마 : 넓게 자리 잡은 돌의 무리
- 대마불사 : 쫓기는 대마는 위태롭게 보여도 살길이 생겨 잘 안 죽는다는 격언
- 대사백변 : 대사정석의 변화가 대단히 많음을 일컫는 말
- 대세 : 바둑 전반의 형세
- 대세점 : 대세의 중심점으로 바둑 전반의 형세를 결정짓는 요처
- 대형정석 : 변화가 많고 수순이 길어 그 모양이 바둑판에 넓게 퍼져 나타나는 정석
- 던지다 : 대국 중 중요한 착수 행위 또는 결단을 나타내는 표현
- 덜컥수 : 신중히 생각하지 않고 두어 손해를 끼치는 즉흥적인 수
- 덤 : 호선 바둑에서 먼저 두는 흑의 유리함을 집으로 계산하여 계가 할 때 백에게 보상하는 것
- 덤바둑 : 덤을 적용하는 바둑(덤 제도는 1939년 일본 혼인보전 창설과 함께 4집으로 시작해서 점차 4집 반, 5집 반으로 확대됐으며,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은 6집 반을 채택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