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둑용어 11
바둑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는 티스토리 바둑왕입니다★
바둑용어 10에 이어 바둑용어 11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실리파 : 바둑을 두 때 실리를 차지하는 것을 좋아하는 스타일 또는 그런 기풍의 사람
- 실전 : 실제 대국 또는 대국이 진행된 반상의 장면
- 실전보 : 실전 대국의 기보
- 실착 : 실수로 잘못 둔 수 또는 그 착점
- 십구로 : 바둑판이 가로세로 열아홉 줄인 데서 넓게 바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십구로장통 : 바둑판의 좌우 또는 상하 19 줄이 모두 집이 된 형태를 이르는 말
- 십번기 : 치수를 고치거나 실력의 자웅을 가리기 위해 10판을 주기로 두는 바둑
- 십자오궁 : 다섯 개의 집을 가진 5궁의 한 형태
- 십팔급 : 바둑을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매기는 최하위 등급. 바둑의 초보자 또는 기력이 아주 낮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싱겁다 : 국면에 변화가 크게 없고 단조롭게 되다(전투 한번 제대로 없는 싱거운 바둑이다). 국면의 흐름이 수단의 여지가 전혀 없어 재미가 없다(좋지 않다는 뜻).
- 싸바르다 : 돌의 바깥쪽을 빈틈없이 둘러싸서 봉쇄하다.
- 싸움바둑 : 타협을 하기보다는 강수를 두어 분란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바둑
- 쌈지뜨다 : 간신히 두 눈을 확보하여 살다. 담배나 바늘 따위를 담는 작은 주머니만 하게 살다.
- 쌍립 : 돌 두 개가 나란히 이어져 있는 두 쌍의 돌들이 한 칸 떨어져 마주 보고 있는 형태
- 아마추어 : 바둑을 좋아하는 애호가. 바둑을 직업적, 전문적으로 하지 않고 취미 삼아 하는 사람 즉 비전문가
- 야생연후살타 : 바둑 격언의 하나로 자신의 말이 산 다음에 상대의 돌을 잡으러 가야 한다는 뜻이다. 약점을 살피지 않고 무모하게 상대의 돌을 공격하다가는 오히려 해를 입기 쉽다는 것을 일깨우는 말이다.
- 아홉줄바둑 : 가로와 세로가 각각 9줄로 이루어진 바둑판 또는 그 위에서의 대국
- 악수 : 잘못 놓은 부적당한 나쁜 수로 두어진 결과가 형세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
- 안정 : 불안한 돌을 더 이상 고역당하는 일이 없도록 근거를 마련하여 안전하게 자리 잡는 일 또는 그 상태
- 안쪽공배 : 수상전을 벌이는 두 돌의 공통으로 갖는 공배
- 안팎계산 : 국면의 한 곳의 처리 과정에서 흑선의 수순으로 이루어진 형태와 백선으로 이루어진 결과를 예상하고 그 집 수 차이를 합하여 크기를 결정하는 계산법
- 안형 : "눈"이 될 수 있는 형태
- 암각바둑판 : 돌바둑판
- 암수 : 속임수
- 압박 : 응수가 자유롭지 못하게 내리누름
- 애기가 : 바둑을 좋아하는 사람
- 약우 : 위기구품의 여덟 번째 품계로 어리서은 것처럼 보이나 그 품계에 맞는 실력을 갖추고 있음을 일컫는 말로 오늘날의 2단에 해당한다.
- 약점 : 수단이나 맛이 남아 있어 형태가 완벽하지 못한 점
- 약하다 : 같은 급수에서 견디어 내는 힘이 덜하다.
- 약한돌 : 모양에 약점을 갖고 있어 공격당하기 쉬운 돌로 근거가 확실하지 않은 모양새
- 양걸침 : 걸침에 대하여 응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걸침을 한 형태 또는 그 걸침
- 양곤마 : 상대에게 차단당하여 살아있지 않은 두 개의 곤마
- 양굳힘 : 두 귀를 굳히는 것 또는 그 모양
- 양날개 : 귀굳힘을 중심으로 양쪽 변으로 벌림을 한 형태
- 양단수 : 동시에 두 개의 단수를 만드는 수 또는 그 일
- 양선수 : 어느 쪽이 두어도 선수가 되는 자리 또는 그 행위
- 양선수끝내기 : 어느 쪽이 두어도 선수 끝내기가 되는 자리 또는 그일
- 양자충 : 한쪽의 돌을 경계로 양쪽에 있는 상대의 돌이 둘 다 자충이 되어 있는 상태
- 양젖힘 : 양쪽을 젖힘. 수싸움에서 양쪽을 모두 젖혀서 한 수를 늘리는 방법 또는 ㅡ 일
- 양축머리 : 양쪽 축머리로 한 수로 두 곳의 축을 방지하는 수
- 양패 : 접전을 벌이고 있는 돌 사이에 나타나는 두 개의 패
- 양패빅 : 양패로 인하여 빅이 되는 모양 또는 그 일
- 양호구 동시에 두 군데의 호구를 만드는 수 또는 그 일
- 양화점 : 포석 명칭의 하나로 같은 변을 끼고 있는 두 귀에 첫 두 수를 놓은 형태를 이르는 말
- 양환격 : 접전을 벌이고 있는 돌이 양쪽으로 환격이 되어 있는 형태
- 양후수 : 어느 쪽이 두어도 그 과정이 일단락되었을 때 먼저 둔 쪽이 후수가 되는 경우
- 얕다 : 세력을 삭감할 목적으로 뛰어든 돌의 위치ㅏ 적정한 사감수에 비해 그 정도가 진영을 축소하기에 미약한 경우를 이르는 말
- 어깨짚기 : 세력을 견제하는 수단의 하나로 세려의 경계에 놓인 3선의 돌에 세력 방향으로 입구자 되는 곳에 놓는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