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둑용어 13
바둑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는 티스토리 바둑왕입니다★
바둑용어 12에 이어 바둑용어 13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운석 : 바둑돌을 두어 나감으로 주로 포석을 일컫는다.
- 움직이다 : 처리를 미루어 놓았던 돌에 수단을 부릴 의향을 가지고 활동하다.
- 웅크리다 : 정상적인 수를 두지 못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다.
- 원생 : 연구생
- 웨이치 : 바둑을 일컫는 중국어로 바둑의 영어표기는 Baduk, Go의 3 가지가 사용되는데 그중 중국식 발음을 표기한 것이 Weiqi(웨이치)이다.
- 위기 : 바둑의 한자어로 일본에서는 위기로 표기한다. 바둑은 일정한 공간 또는 돌을 에워싸는 형태라고 하여서 생겨난 말이다.
- 위기개론 : 한국현대바둑의 개척자 조남철이 1955년 발간한 국내 최초의 체계적인 바둑입문서로 조남철은 위기개론을 비롯해 행마의 기초, 행마의 급소 등 바둑이론서를 내놓았다.
- 위기구품 : 바둑의 아홉 품계로 제 1품인 입신부터 차례로 좌조, 구체, 통유, 용지, 소교, 투력, 약우, 수졸로 이루어져 있다.
- 위기락 : 바둑의 즐거움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 위기발양론 : 일본 고전 사활 묘수풀이집의 하나로 1713년 4세 명인 이노우에 인세키가 중국의 묘수풀이를 근거로 만든 책이다.
- 위기삼매 : 바둑을 두는 데만 온 마음과 정신을 쏟아 즐기는 경지를 일컫는 말
- 위기십결 : 바둑을 두는 데 필요한 열 가지 요결을 북송의 반신수가 지어 태종에게 현사한 것으로 부득탐승, 입계의완, 공피고아, 기자쟁선, 사소취대, 봉위수기, 신물경속, 동수상응, 피강자보, 세고취화로 되어있다.
- 위붙임 : 상대편 돌의 위에 붙이는 일
- 위빈 : 90년대 중국바둑 2인자로 1967년 4월 16일 저장성에서 출생. 1982년 3단으로 프로에 데뷔, 1991년 9단 승단, 전국대회 개인전 5회 우승을 비롯하여 중국 기전 통산 10회 우승하였다.
- 유가무가 : 수상전이 벌어진 흑 백 중에 한쪽만이 집을 갖고 있는 형태
- 유단자 : 초단 이상의 기력을 갖춘 사람. 일반적으로 아마추어의 단위를 가리킬 때 사용 된다.
- 유중보 : 중국 북송 시대의 고수로 중국 바둑 사상 기성으로 불린 인물
- 유형 : 일련의 변화 수순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들을 묶은 틀
- 육궁 : 눈 여섯 개를 가진 궁도
- 육사팔활 : 귀를 포함하지 않은 변에서 제2선에 놓인 일련의 돌이 6개면 죽어있는 모양이고, 8개면 산 모양이란 것을 나타내는 격언
- 응수 : 상대에게 대응하여 착수하는 일
- 응수타진 : 다음 수를 결정하기 전에 먼저 상대방의 뜻을 묻는 착수 행위로 바둑 전술의 하나
- 응용정석 : 정석의 기본형에서 파생되어 복잡한 다른 형태를 갖는 또 하나의 정석
- 응집 : 돌이 비능률적으로 뭉쳐 있음
- 응형 : 돌이 효율적으로 배열되지 못하고 나쁘게 뭉친 모양으로 우형과 비슷한 말이다.
- 의문수 : 일반적인 예상에서 빗나가 필연성이나 의도를 알 수 없거나 정수로 보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악수나 완착 등과도 구별되는 수
- 이규보 : 고려 말기 문신, 문장가. 자는 춘경, 호는 백운거사, 시호는 문순이며 바둑을 즐겨 신동국수 등 10 편의 바둑 시를 남겼다.
- 이노우에 인세키 : 일본 에도 시대의 고수로 도사쿠의 뒤를 이어 5대 명인
- 이단젖힘 : 상대의 돌을 젖히고 난 후 상대의 되젖힘에 다시 한번 젖히는 일
- 이단패 : 두 번 따내는 단계를 거쳐야 일단락ㄹ되는 패
- 이립삼전 : 벌림의 하나로 포석 단계에서 돌 두 개가 일렬로 늘어서 있을 때는 세 칸을 벌리는 것이 정수라는 뜻이다.
- 이삭줍기 : 커다란 이득을 볼 수 있는 곳에서 하찮게 흘려진 부스러기 같은 돌을 잡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이연성 : 포석의 한 형태로 한쪽 변을 중심으로 화점에 두 개의 돌을 놓고 포석을 구상하는 방법
- 이음 : 기본 행마 기법의 하나로 돌과 돌이 끊어지지 않도록 맞대어 붙이는 일을 이른다. 꽉 이음, 호구 이음, 날이자 이음, 쌍립 이음, 마늘모 이음 등이 있다.
- 이의 일 : 제2선과 제1선의 교차점. 예부터 귀에서 묘사가 나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 이적수 : 상대를 유리하게 하는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