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둑용어 14
바둑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는 티스토리 바둑왕입니다★
바둑용어 12에 이어 바둑용어 13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이적의 수 : 상대의 귀가 붉어질 만큼 충격과 부끄러움을 주는 결정적인 묘수. 1845년 4세 혼인보 인세키가 슈사쿠의 결정적인 묘수에 귀가 붉어졌다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 이창호 : 조훈현에 이어 90년대 초반부터 20년 가까이 정상을 지켰던 한국 4세대 대표기사로, 1975년 7월 29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하여 조훈현 문하 입문 하였다.
- 인터넷바둑 : 인터넷을 통하여 두는 바둑
- 일급(1급) : 예전에 아마추어 기력이 최상위에 속함을 일컫는 말로 현재는 아마추어 7단까지 부여하여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 또한 기력의 한 단위로 초단 바로 밑의 기력이다.
- 일립이전 : 변에 놓인 하나의 돌로부터 벌림은 두 칸이 제격이라는 바둑의 격언
- 일방가 : 바둑판의 여러 곳에 집을 지은 것이 아니라 한 곳을 중심으로 커다란 집을 지은 것
- 일본기원 : 일본 바둑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1924년 발족하여 바둑 보급과 국제교류, 전문기사 양성, 출판사업 등의 일을 하고 있다.
- 일본룰 : 일본에서 만들어 행해지는 바둑규착으로 한국룰과 비슷하다.
- 일삼오포석 : 흑번의 초반 세 수로 이루어지는 포석 형태로 슈사쿠류를 일컫는다.
- 일색바둑 : 한 가지 색의 돌을 두어 나가는 바둑으로 이벤트 형식으로 주로 두어진다.
- 일선 : 바둑판 맨 가장자리의 선
- 일수불퇴 : 한번 둔 수는 무르지 못한다는 말
- 일자 : 날일자
- 읽다 : 수의 변화, 돌의 상호 작용 등 일련의 과정을 머릿속으로 검토하다.
- 입계의완 : 위기십결의 하나로 상대의 세력에 뛰어들 때는 너무 깊게 뛰어들지 말고 완만하게 들어가라는 말이다.
- 입구자 : 마늘모
- 입구자이음 : 마늘모이음
- 입단 : 전문기사가 됨
- 입단대회 : 전문기사를 뽑기 위하여 치러지는 대회
- 입문 : 스승의 문하에 들어감, 바둑의 길로 들어섬
- 입회 : 바둑대국을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하여 대국 장소에 들어감
- 입회인 : 대국을 주관하여 진행시키면서 대국 중에 일어나는 문제점을 바둑규칙을 통하여 해결하고 승부를 선언하는 등 심판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
- 잇다 : 돌이 끊어지지 않도록 맞대어 붙이다.
- 잉스룰 : 대만의 잉창치가 만든 바둑규칙으로 잉스룰의 특징은 중국식을 보완해서 만든 전만법에 있다. 이는 모두 메운다는 의미로 흑돌과 백돌 각각 180개를 갖고 둔 후 각각의 돌로 흑집과 백집을 메워 덤을 제하고 많이 남는 쪽이 이기는 방식이다.
- 잉스배 : 대만 주최 최대의 세계선수권대회. 1988년 대만의 잉창치(應昌期) 바둑교육기금회가 주최하여 창설. 기전규모는 115만 달러이며, 우승상금은 40만 달러. 올림픽 형식으로 4년마다 개최되며, 잉스(應氏) 룰에 의하여 덤이 8점이다.
- 잉창치 : 대만 주최 최대의 세계선수권대회. 1988년 대만의 잉창치(應昌期)바둑교육기금회가 주최하여 창설. 기전규모는 115만 달러이며, 우승상금은 40만 달러. 올림픽 형식으로 4년마다 개최되며, 잉스(應氏) 룰에 의하여 덤이 8점이다.
89년 조훈현(曺薰鉉)이 초대 우승한 이래 서봉수(徐奉洙), 유창혁(劉昌赫), 이창호(李昌鎬) 등 한국 프로기사들이 차례로 우승, 한국바둑이 세계최강임을 입증하였다. 2005년에는 중국의 창하오(常昊)가 최철한(崔哲瀚)을 꺾고 중국기사로는 처음 우승하였다.
- 자 : 바둑돌의 한자어로 바둑돌을 뜻한다.
- 자리 : 돌이 놓이는 바둑판의 교차점
- 자살수 : 단수가 되어 돌이 잡힐 곳에 두는 수
- 자세 : 돌의 모양이나 형태
- 자연사 : 상대에 둘러싸여 손을 써보지 못하고 저절로 죽는 일
- 자체도생 : 상대의 세력권 안에서 포위망을 뚫고 달아나거나 수싸움을 하지 않고 그 자체로 삶을 구하는 일
- 자쳇팻감 : 패가 난 돌에 자체로 존재하는 팻감
- 자충 : 자기 돌의 공배를 스스로 메워 자기 돌의 수를 줄이는 일
- 자충수 : 스스로 자충이 되게 하는 수
- 작대기 말 : 작대기처럼 늘어서서 쫓기는 처지에 있는 말
- 잔끝내기 : 자잘한 크기의 끝내기
- 잔바둑 : 승부의 차이가 미세한 바둑
- 잔수 : 세부적인 곳에서 수의 미세함을 따지는 수단
- 잘라먹다 : 일련의 돌 중에서 그 일부를 떼어 잡다.
- 잘록집 : 옥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