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둑용어 15
바둑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루는 티스토리 바둑왕입니다★
바둑용어 14에 이어 바둑용어 15를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잡다 : 돌을 가두어 살지 못하게 만들다. 대국 중 어느 한족이 국면의 권리를 차지하여 가지다.
- 잡초류 : 수법이 엉성한 듯 보이나 끈질기게 상대에게 맞서면서 바둑을 이끌어 가는 바둑 또는 그러한 사람
- 잡초바둑 : 형태가 정형화되어 있지 않으나 상황에 대처하는 힘이 좋은 바둑
- 장고 : 대국 중 수의 변화나 수단을 만들기 위하여 오래 생각하다.
- 장문 : 잡는 수법의 하나로 한 수로 돌을 가두어 달아나지 못하게 하여 잡는 방법이다.
- 장생 : 바둑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특이한 형태의 하나
- 재미있다 : 국면의 흐름이 아기자기하고 여러 가지 맛과 노림수가 있어 즐겁고 유쾌한 느낌이 있다. 국면이 좋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 쟁기 : 바둑 대국 또는 바둑에 의한 대승부
- 저단 : 바둑에서 낮은 단위로 사용되며 보통 4단 이하를 이른다.
- 저위 : 돌이 놓인 위치가 낮음. 주로 포석 단계에서 귀의 기점으로부터 변으로 벌려 나갈 때 그 기점의 낮은 위치를 말한다.
- 저지하다 : 돌의 진로와 연락 또는 발전 방향을 막아 행마의 목적을 이루지 못하게 하다.
- 적정록 : 1525년 중국 명나라 때 임응룡이 지은 기보집으로 명나라 가정 4년 발행된 책으로 송나라 때의 망우청락집, 원나라 때의 현현집/현현기경과 더불어 중국 3대 바둑고전으로 손꼽힌다.
- 전개 : 포석 단계에서 귀나 변의 기착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 진영을 구축하는 일
- 전단 : 궁하거나 대세에 뒤질 때 형세를 만회하기 위하여 싸움 등을 일으키려는 실마리
- 전례수 : 순장바둑에서 정석을 이르는 말
- 전만법 : 대만 잉스룰의 기본적인 계가법. 흑백이 각각 180 개의 돌을 갖고 대국을 한 후 흑백 돌로 집을 모두 메워 계가를 하여 승부를 판가름하는 방식이다.
- 전문기사 : 바둑을 전업으로 하는 기사
- 전투 : 보다 적극적인 행마로써 세력과 실리, 공격과 방어 등을 전개하며 국면을 유리하게 가져가기 위하여 행하는 일련의 과정
- 절단 : 상대방 돌이 연결되지 못하도록 끊거나 갈라놓는 일
- 절대수 : 선택의 여지가없어 반드시 응해야 하는 수
- 절대패 : 그 대가를 상쇄할 만한 것이 없어 승부와 직결되는 패
- 절대팻감 : 반드시 응해야 하는 팻감
- 절충 : 쌍방이 극단적인 수단을 쓰지 않고 이해 득실의 차이가 없도록 알맞게 조화시키면서 형태를 마무리하는 일
- 절호 : 기회, 자리, 시기 등이 더없이 썩 좋음
- 절호점 : 절호의 착점. 더 이상 좋은 곳이 없다고 할 만한 곳에 두어진 착점
- 점 : 바둑돌을 세는 단위, 바둑판의 돌을 놓을 수 있는 자리, 치석의 수를 세는 단위
- 접다 : 기력 차이에 걸맞는 핸디캡을 상수가 하수에게 주어 대등한 조건에서 대국을 할 수 있도록 하다.
- 접바둑 : 상수가 하수에 대하여 대등한 조건에서 대국을 할 수 있도록 일정한 치수만큼 바둑판의 화점에 미리 돌을 깔아놓고 두는 바둑
- 접바둑정석 : 접바둑에서 하수에 의하여 흔히 두어지는 정석으로 호선바둑에서는 약간 손해가 되더라도 변화가 적고 간명하여 하수가 선호하는 정석
- 정사궁 : 정방형의 사궁으로 집이 네 개이나 구조에 결함이 있어 죽는 모양의 궁도를 가진 사궁. 판사궁이라고도 부른다.
- 정석 : 귀 방면에서 접촉하는 흑 백 사이의 이해득실이 같은 일정한 착수 형식으로 흑백이 서로 최선으로 인정되어 온 수순. 맥과 모양에 대한 오랜 경험과 연구에 의해 이루어진 변화 수순
- 정선 : 기력의 차이가 있어 돌을 가리지 않고 흑으로 먼저 두는 바둑으로 덤이 없다.
- 정수 : 그 장면에서 가장 기리에 맞는 최선의 수로 속임수나 무리수가 아닌 정당한 법수
- 정육궁 : 빗꼴육궁
- 정착 : 어떤 국면에서 가장 기리에 맞는 최선의 착점
- 정창현 : 1970년대를 풍미한 프로기사로 1961년 입단하여 논리 정연한 이론가로 정교수라고도 물리었으며 속기에 능하고 예리한 감각에 잔수가 강해 면도날이란 별명이 붙었다.
- 정통파 : 전형적인 기법으로 국면을 운영해 가는 기풍 또는 그런 사람
- 정해도 : 올바른 답을 수순으로 보여 주는 그림
- 정형 : 쌍방이 피차 취하여야 하는 당연한 형태. 일정한 조건에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래 잠시 보류해 두었던 수순을 차례로 두어 전면의 형세를 고정시켜 나가는 착수법. 종반의 수습 단계에서 변화 또는 지역을 명확히 하는 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