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8일 한우진, 양구 국토정중앙배 초대 챔피언 등극
한우진 6단(18)이 양구군 국토정중앙배 초대 챔피언에 오르며 밀레니엄 세대(2000년 이후) 최강기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한우진 6단은 8일 바둑 TV 스튜디오에서 열린 '2023 양구군 국토정중앙배 밀레니엄 천 원 전' 결승 3번기 2국에서
박현수 5단에게 196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뒀습니다.
우승을 차지한 한우진 6단은 우승상금 1,000만 원 획득과 동시에
7단으로 한 단 승단하는 겹경사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2023 양구군 국토정중앙배 밀레니엄 천원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우진 6단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한우진 6단은 한화생명배, 문화체육부장관배 등 각종 어린이 바둑 대회를 휩쓸며 바둑팬들에게 이름을 알린 바 있습니다.
빛나는 재능으로 2019년 1월 제 11회 영재(연구생) 입단대회에서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입단에 성공했습니다.
그 당시 나이는 13세 6개월 이었습니다.
입단과 동시에 한우진 앞에는 늘 유망주, 한국바둑의 미래라는 수식어가 붙었습니다.
하지만 프로기사로서 성적을 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일 아니었습니다.
그랬던 한우진은 2022년에 들어서며 서서히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3월, 미래의 별에서 입단 후 첫 결승 무대에 올랐으며 상대는 자신보다 랭킹이 낮은 박신영이었지만,
입단 전부터 숱하게 부딪히고 깨진 기억 탓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제대로 힘 한번 써보지 못하고 준우승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절치부심한 한우진은 6개월 뒤 이붕배로 다시 한번 결승에 오른 끝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3월 10일 '끝판왕' 신진서 3연승으로 Z세대 역전 우승
'끝판왕' 신진서 9단의 3연승 활약으로 Z세대가 역전 우승에 성공했습니다. 신진서 9단은 M세대의 안성준 9단을 시작으로 강동윤 9단, 박정환 9단을 차례로 물리치며 Z세대의 우승을 결정지었습니다. 우승상금은 7,000만 원입니다. 한편 같은 날 한국기원 2층 대회장에서는 '22-23 하나은행 MZ 바둑 슈퍼매치' 팬미팅이 함께 열렸습니다.
3월 14일 LG배, 아마선발전 시작으로 막 올라
LG배 조선일보 기왕전이 아마선발전으로 스물여덟 번째 대회 시작을 알렸습니다. 14일 한국기원에서 열린 제28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아마 선발전에서 최환영, 박종욱, 유신성, 임지현, 송민혁, 신유민 등 6명이 국내선발전(프로) 출전권을 따냈습니다. 본선은 4월 18일부터 열립니다.
3월 15일 이상빈, 이정준, 김정현, 엄동건, 김다빈 일반입단대회 통과
이상빈(27), 이정준(25), 김정현(24), 엄동건(23), 김다빈(22) 등 5명이 제154회 일반입단대회를 통과하며 프로 입단에 성공했습니다. 한국기원 소속 프로기사는 420명(남자 339명, 여자 81명)으로 늘었습니다.
3월 15일 YK건기배, 본선 레이스 돌입
2023 YK건기배가 13일 국내 랭킹 2위 박정환 9단과 3위 변상일 9단의 본선 첫 경기를 시작으로 본선 레이스에 돌입했습니다. 본선은 8인 풀리그로 진행됩니다. YK건기가 후원하고 한국기원이 주최 주관하는 2023 YK건기배의 우승상금은 6,000만 원이며 준우승상금은 3,000만 원입니다.
3월 16일 KB바둑리그 새바람 일으킬 대학생 바둑 서포터스 등장
대학생 바둑 서포터즈가 16일 펼쳐진 '2022-2023KB국민은행 바둑리그' 난가리 그 6라운드 킥스(Kixx)와 컴투스 타이젬의 경기를 응원하기 위해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등 3개 대학의 서포터스 30명이 한국기원 바둑 TV 스튜디오를 찾았습니다. '대학생 바둑 서포터스'는 국내 최대규모 기전인 KB국민은행 바둑리그의 홍보활동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3월 17일 정동식, 59년, 5개월 기사생활 마감
한국기원 초대 사무총장을 역임한 정동식 6단이 은퇴했다. 정동식 6단은 3월 14일자로 한국기원에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59년 5개월의 프로기사 생활을 마감했습니다.
'★바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둑] 바둑 경기 규정 (2020년 9월 개정) (0) | 2023.05.23 |
---|---|
[바둑] 바둑 경기 규정 (2020년 9월 개정) (0) | 2023.05.22 |
사단법인 대한바둑협회 소개 (0) | 2023.03.31 |
재단법인 한국기원 설명 (0) | 2023.03.31 |
바둑용어 23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