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둑

재단법인 한국기원 설명

by 바둑히포 2023. 3. 31.
반응형

다음이나 네이버에 한국기원을 검색하면 여러 곳이 검색됩니다.

많은 리스트 중 재단법인 한국기원(서울시 성동구 마장로 210)이 한국을 대표하는 바둑협회입니다.

이외 다른 한국기원은 재단법인 한국기원과 관련이 없는 곳이니 방문할 일이 있으신 분들은 혼돈 없으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한국 바둑을 대표하는 재단법인 한국기원에 대한 약사를 연도별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국기원약사

 

1945년 한성기원의 설립


재단법인 한국기원(韓國棋院)은 바둑문화의 창달과 보급, 전문기사의 기예 향상을 목적으로 1954년 1월 8일 사단법인체로 공식 출범했습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한국 현대바둑의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그렇지만 한국기원의 역사는 더 거슬러 올라가 1945년 11월이 원년입니다.

실제적으로 한국기원의 원년은 한국바둑의 개척자 조남철의 주도로 한성기원(漢城棋院)이 설립되면서 시작됐습니다.

 

1949년 대한기원으로 개칭


한성기원이 설립되기 전에는 우리 고유의 순장바둑과 19세기 말 서양문물과 함께 들어온 근대바둑은 혼재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즈음 일본에 건너가 체계적인 바둑수업을 한 조남철이 1941년 初단 면장을 받고 1943년 귀국하게 되죠.


1945년 광복 이후 서울 남산동에 한성기원의 간판을 걸고 바둑보급의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한성기원은 공동 조직으로 프로기사제도 모색, 대회창설 등 기초적인 제도를 마련하여 바둑보급에 전력, 오늘날 한국기원의 모태가 됐습니다. 이후 한성기원은 1948년 4월 조선기원으로 1949년 7월 대한기원으로 개칭하게 됩니다.

 

1954년 한국기원 창립


대한기원은 1950년 6월 20일 최초의 단위결정시합을 개최, 조남철 三단과 함께 민중식, 이석홍, 유진하, 김봉선 등 13명의 初단이 탄생하게 됩니다.

 

도중 한국전쟁이 터져 기사들은 뿔뿔이 흩어지고 부산에서 피난기원을 운영하던 대한기원은 환도하여 1953년 12월 31일 명동에 터전을 잡게 되죠. 마침내 1954년 1월 8일 사단법인 한국기원이 창립되고 초대 총재에 윤호병, 초대 이사장에 장경근이 추대돼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바둑보급이 시작됩니다.

 

한국기원은 프로기사제도를 확립하고 바둑인구의 저변 확대로 내실을 다지며 안정적이고 점진적인 성장을 거듭하게 됩니다. 

 

한국기원, 프로기전의 기틀 마련
한국기원은 1954년 4월 10일 제1회 승단대회를 개최하고 6월 20일 제1회 입단대회를 개최했습니다.
1955년 3월에는 최초의 국제공식시합인 제1회 한/중 위기교류전을 열었으며, 
조남철, 김봉선, 민영현, 장국원이 출전하여 16대 8로 압승을 거뒀습니다.

1956년에는 동아일보 주최로 국내 최초의 프로기전인 국수 제1위전(국수전의 전신)을 창설했으며, 
1957년 세계일보 주최 국수순위전
1958년 경향신문 주최 왕좌전
1959년 서울신문 주최 오강전(이후 패왕전), 부산일보 주최 최고위전이 잇따라 창설되면서 이들 각종 바둑대회를 주관한 한국기원은 프로기전의 제도적인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1967년 월간 바둑의 전신 월간 기계(棋界) 창간


이후 한국기원은 1967년 8월 월간『기계』(棋界, 월간『바둑』의 전신)를 창간, 바둑출판사업을 통해 바둑문화 창달을 모색하고 1968년 8월 종로 관철동에 한국바둑의 터전인 회관을 건립합니다.


1969년 3월에는 이후락 총재가 취임하고 1970년 4월 재단법인체로 바꾸게 됩니다. 
한국기원은 1974년 10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기계파동'이라는 시련을 겪기도 했으나 이후 점진적인 발전을 이룩하게 됩니다.

 

천재소년기사 이창호 9단의 등장
천재소년기사 이창호 九단의 등장은 세계바둑사의 혁명이었다. 
1989년 제8기 바둑왕전 우승으로 세계 최연소 타이틀 획득, 연간 최다대국(111국) 신기록, 1990년 최다연승(41연승) 신기록, 1992년 제3회 동양증권배 우승으로 최연소 세계챔프 등극, 1994년 최다관왕(13관왕) 신기록,
연간 최다승(90승) 신기록, 사이클링히트(16개기전 한 차례씩 석권) 기록, 1996년 국제대회 5관왕 등 각종 바둑역사를 새로 쓰며 세계바둑 역사상 최강의 기사로 군림했다.
한국바둑의 황금기
이러한 비약적인 발전을 토대로 한국바둑은 1993, 1994년 2년 연속 세계바둑천하통일의 찬란한 금자탑을 쌓았다.
제1회 진로배 우승을 시작으로 응씨배, 동양증권배, 후지쓰배 등 각종 세계대회를 석권, 8 연속 세계대회 우승이라는 불멸의 금자탑을 쌓았다.

이와 함께 한국은 동양증권배, 진로배, LG배, 삼성화재배 등 세계대회를 창설, 세계 속에 위상을 드높이며 찬란한 바둑의 꽃을 피웠다.
2016년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또 한명의 승부사 이세돌 九단도 세계 바둑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2002년 15회 후지쓰배에서 우승컵을 거머쥐며 월드스타로 부상한 이세돌 九단은 2003년 7회 LG배 결승에서 무적을 자랑하던 이창호 九단을 꺾고 이세돌 시대 개막을 알렸다.
이九단은 2014년 이세돌-구리 10번 기(6승 2패 승), 2016년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등으로 전 세계에 이름 석자를 아로새겼다.

 

 

 

 

 

 

 

 

 

 

 

 

 

반응형

'★바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바둑계 소식  (0) 2023.04.05
사단법인 대한바둑협회 소개  (0) 2023.03.31
바둑용어 23  (0) 2023.03.28
바둑용어 22  (2) 2023.03.24
바둑용어 21  (0) 2023.03.23